B코스: 초심자용 해설
B코스는 InterBEE에 처음 참가하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는 라인 업을 갖춘 코스. 4K나 8K라는 최신 영상 제작 환경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중심으로 소개.
1 글래스밸리 grass valley (부스#8315)
글래스밸리는 2014년 벨던 산하에 들어간 것부터 먼저 벨던 산하에 들어간 미란다와 제품 융합이 진행되고 있다.또 그 이전에 글라스 밸리는 카노푸스를 인수했으며 벨던은 케이블에서 카메라나 스위처 편집 시스템 등 다양한 비디오 기기를 갖추어 방송국에 필요한 시스템 솔루션을 제안.재빨리 8K에 대응한 비선형 편집 시스템 시스템과 HD/6두배의 속도 및 4K에 대응한 LDX 86 Universe카메라와 K2 Dyno Universe에 의한 인스턴트 리플레이 시스템, 모듈러식 비디오 프로세스 엔진을 채용한 3G대응 스위처 Karrera K-Frame S외, DVCPRO HD를 비롯한 XDCAM HD422, AVC-Intra, AVC-Ultra LongG및 4K의 녹화/재생에 대응하고 편집·송출용 서버 K2 Summit 3G등의 시스템이 볼거리다.
2 Blackmagic Design (부스#8216)
크로마키 장치로서 정평 있는 Ultimatte사나 오디오 믹싱 콘솔 등의 오디오 기기의 Fairlight사의 인수가 발표되고 있지만 이미 카메라, 텔레시네, 스위처와 같은 기기도 라인 업되며 종합적으로 비디오 관련 업체의 입지를 굳힌 것 같다. NAB에서는 Blackmagic Duplicator 4K나 Blackmagic Video Assist 4K, Blackmagic Micro Converter, Blackmagic IP Video Strategy등 4K대응의 신제품을 발표·출시했고 이미 몇몇 제품은 버전 업되고 있다.제품 개발 속도감이 있는 이 회사는 눈을 뗄 수 없는 존재다.
3 이케가미 Ikegami 통신기 (부스#7216)
이케가미 통신기는 일찍부터 8K의 카메라 개발을 실시했으며 지난해에는 8K슈퍼 하이비전 카메라 시스템 SHK-810이나 55형 8K LCD모니터 등을 전시.또 2/3형 4K 3CMOS 4K시스템 카메라나 이더넷에 대응 마스터 컨트롤 패널 MCP-300, 콤팩트 스잇챠 CSS-400외에 H.265/HEVC대응 엔코더 내장 1.2/2.3GHz대 듀얼 밴드 초소형 FPU송신기 PP-90등에도 주목한다.
4 히타치 HITACHI (부스#7214)
히타치도 8K단판 카메라 SK-UHD8060B를 개발하고 8K에 대한 대응에 선수를 달고 있는 업체의 하나이다.또 미디어 에셋 매니지먼트, 트랜스 코더, 비디오 서버 파일 공유 시스템, 렌더 팜 관리 시스템 등 방송국에서 기간 시스템이 되는 설비 기기도 충실하고 있다.또한 작년 4K카메라 SK-UHD4000나 무인 항공기 솔루션에 의한 촬영이나 경비, 감시 시스템을 출품하고 있으며, 자사의 기술을 응용한 새로운 전개에도 기대한다.
5 朋栄 – FOR-A – (부스#6515)
FOR.A은 원래 스위처나 스튜디오 시스템 기기를 중심으로 왔지만 최근 고속 카메라 FT-ONE-LS를 개발. 2배속으로에서 4K영상 녹화가 가능하면서 기존 모델 대비 암부 노이즈를 개선하고 중계에서 갑작스런 비에도 대응한 방수 모델 등 매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.이러한 기재의 대부분은 시스템으로 전시되어 있으며 비디오 스위처 HVS-490이나 비디오 월 솔루션 FLEXaVISION등과 조합한 전시에도 주목이다.이 밖에도 프레임 동기화 회로 컬러 콜렉터 FA-9600, LTO멀티 코덱 아카이브 기록기 LTR-200HS7등의 시스템 기기를 출전한다.
6 파나소닉 Panasonic (부스#6213)
출발한 4K관계의 기재는 단판식 4K스튜디오 핸디 카메라 AK-UC3000이나 잉테그레ー텟도 카메라 AW-UE70,4K라이브 스위처 AV-HS7300,4K아카이브 시스템, 4K태블릿 TOUGHPAD 4K, 레이저 광원 프로젝터 PT-RQ13K외에 네트워크 대응 제품 등이 전시된다. 8K에 대해서는 지난해 시제품으로 전시하던 8K의 카메라나 P2메모리 카드 4장에 분산되어 기록 레코드가 있다.또 RAMSA브랜드의 제품으로 1.2GHz대 A형 디지털 무선 마이크 시스템이나 고연 색 LED스튜디오 조명 기구나 조광 시스템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.
7 소니 sony (부스#4406)
카메라로는 디지털 일안 카메라 α 99 II, ISO409600의 소형 카메라 UMC-S3C, 중계용 슬로모션 대응 PL마운트 카메라 HDC-4800 같은 신제품 외에 IP전송을 사용한 스위처 XVS시리즈 등의 IP Live Production System방송 시스템, 4K유기 EL마스터 모니터 BVM시리즈를 핵으로 한 HDR관련 제품 외, 무선 녹화 시스템과 무선 마이크 등 각종 오디오 제품이 전시되고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솔루션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다.
8 NHK (부스#4111,4112)
8K의 멀티 디스플레이, 8K시어터 시스템으로 리우 데 자네이루 올림픽 등 8K영상을 선 보이고 HDR에도 힘을 넣어 방송뿐 아니라 이러한 최첨단 영상 기술을 쓴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박력 있는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.또 층상의 디스플레이와 22.2ch의 오디오 CG, 터치 패널을 사용한 디지털 전자 게시판, 공중 나안 입체 영상, 클라우드를 활용한 영상 제작 지원 플랫폼 등의 음성&영상 기술도 선 보인다.
9 Hibino 히비노 프로 오디오 인터 사운드 (부스#2208,3118)
히비노는 AKG의 콘덴서 마이크로 폰 C314, Lexicon의 이 마ー시 부산 사운드 프로세서 Lexicon PRO의 QLI-32, dbxPA프로세서 DriveRack VENU360, dbx의 진공관 마이크로 폰 프리 앰프, 이퀄라이저, 컴프레서, 리미터를 탑재한 dbx 676, Soundcraft는 디지털 믹서 Vi2000 같은 신제품을 출품하는 모양이지만, AKG의 구스 넥 마이크로 폰이나 B대 무선 시스템, MA에서는 낯익은 DK-Technologies와 Studer, Soundcraft, DPA Microphones등의 제품을 선 보인다.
10 INTER BEE EXPERIENCE X-Microphone (부스#2000)
올해부터 신설된 코너에서 오디오 테크니카, 젱하이자ー, 롤랜드, AKG의 마이크 등들 마이크로 폰을 시청할 수 있다.롤란드는 CS-15RS 같은 자사 제품 외에 9월부터 신규 사업으로 해외 브랜드의 영국 Aston Microphones사의 마이크로 폰도 다루게 됐다. Aston Microphones 사는 지난해 설립하자마자 회사이니 국내에서 실제로 손에 잡히는 장소로서 귀중할 것.